예술가와 디자이너, 부르노 무나리, 양영완 역, 2001, 디자인하우스
예술가와 디자이너, 부르노 무나리, 양영완 역, 2001, 디자인하우스 The Dody in Pieces: the fragment as a metaphor of modernity, 1994, Linda Nochlin 04 디자이너와 사회 p. 39 디자이너는 미학적 감각을 부여받은 기획자입니다. 그리고 그는 공동체를 위해 일합니다. 따라서 그의 작업이 혼자 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사람과 함께 해 나가는 공동 작업이 되리라는 것은 쉽게 생각할 수 있겠지요. 디자이너는 해결해야할 문제에 따라 작업 팀을 조직합니다. 비록 오늘날의 산업 생산이 스타일리스트(소비재 생산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면서 예술적 감각으로 일하는 기획가)로서의 작업 성향을 변모시키기는 했지만, 디자이너는 특정 엘리트를 위해 일하지는 않습니..
회화론, 레온 바리스타 알베르티, 세실 그레이슨 영역본을 김보경이 옮김, 2011, 도서출판 기파랑
회화론, 레온 바리스타 알베르티, 세실 그레이슨 영역본을 김보경이 옮김, 2011, 도서출판 기파랑 On Painting, Leon Battista Alberti, 1435 제1권 p. 79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물체의 외곽선periphery이나 생김새confomation의 특징들이 평면의 명칭을 결정합니다. 평면 자체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는데도, 항상 같게 표현되지 않는 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보는 사람의 위치에 따라 그럴 수 있고, 또는 빛에 따라 달라 보일 수 있는데, pp. 83-84 눈의 각도가 예각을 이룰수록 면적은 더욱 더 작아 보입니다. 이 점을 염두에 두면, 아주 멀리 떨어진 면적이 하나의 점으로 축소되어 보이는 이유가 완전히 이해가 될 것입니다. 또한 관찰자의 시각이 면적에..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기억에서 살 것이다, 정지돈, 2019, 워크룸프레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기억에서 살 것이다, 정지돈, 2019, 워크룸프레스 We Shall Survive in the Memory of Others, Jung Jidon, 2019 p. 24-25 대도시의 대기오염 수치는 주말로 갈수록 높아지고 주초에는 낮아지는데 전문가들은 이를 일요일 효과(Sunday Effect)라고 부른다. 인위적으로 시간을 나눈 관찰자 인간의 행위가 자연에 영향을 주었고 인위성은 자연현상이 되었다. 다시 말하면, 인위적인과 인위적이지 않은 것 사이의 구분은 존재하지 않으며 그러한 구분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인위적이었다는 사실, 자연과 우리와 기계가 하나의 시스템 속에 있으며 우리가 만든 환경은 일종의 제어로 시스템 속에서 소루를 구성한다. 기후학은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이루어..
포트폴리오와 다이어그램, 배형민, 박정현 역, 2013, 동녘
포트폴리오와 다이어그램, 배형민, 박정현 역, 2013, 동녘 The Portfolio and The Diagram: Architecture, Discourse, and Modernity in America, 2002, Hyung Min Pai 들어가며 p. 16 글은 프로젝트 사이의 접착제가 아니라 독자적인 에피소드로 끼워져 있다. 우리는 모순을 피하지 않는다. 이 책은 어떤 방식으로든 읽을 수 있다. - 렘 콜하스・브루스 마우의 1. 담론・대중건축・아카데믹 프로페션 p. 41 ....건축가는 미국 사회의 변덕스러움을 초월하여 "변하지 않고 영속하는 것"을 추구해야 한다고 믿었다. 바꾸어 말하면, 건축과 기념비는 자본주의 사회의 세속적인 현실에 대한 안티테제로 정의되었다. 건축에 대한 이러한 정의의 가..
건축의 일곱 등불, 존 러스킨, 현미정 역, 2012, 마로니에북스
건축의 일곱 등불, 존 러스킨, 현미정 역, 2012, 마로니에북스 The Seven Lamps of Architecture, 1849, John Luskin (1819-1900) 1849년 초판 서문 p. 7 ...나의 의견에 확신이 있다면 신중하지 못한 것도 그리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왜냐면 우리 건축 체계가 불확실성과 저항에 직면하고 있는 상황에서, 여러 가지 오류가 있더라도 분명한 의견을 개진한다면 그것은 모래 제방에 피는 잡초처럼 쓸모가 있으리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1. 희생의 등불 The Lamp of Scrifice p. 21 1. 건축은 인간이 세운 구조체edifice를 배열하고 장식하는 예술로서, 사용목적이 무엇이건 간에 그 모습이 인간 정신의 건강, 힘 그리고 즐거움에 기여하도록 하..
실재의 귀환, 핼 포스터, 이영욱, 조주연, 최연희 역, 2012, 경성대학교 출판부
실재의 귀환, 핼 포스터, 이영욱, 조주연, 최연희 역, 2012, 경성대학교 출판부 The Return of the Real, Hal Foster, 1996 누가 네오-아방가르드를 두려워하는가 pp. 55-56 오히려 주체성은 외상적 사건들에 대한 예상과 재구성의 이어달리기로서 구조화된다. "무언가가 하나의 외상이 되려면 항상 두 개의 외상이 있어야 한다"고 장 라플랑슈Jean Laplanche는 말하는데, 그는 프로이트 사상 속의 상이한 시간 모델들을 명확히 밝히는 데 많은 기여를 했던 인물이다. 어떤 사건은 오로지 그 사건을 다시 약호화하는 다른 사건을 통해서만 등재되며, 또한 우리는 오로지 지연된 작용 속에서만(사후성Nachträglichkeit) 우리 자신이 된다는 것이다. 내가 20세기말이라는..
현실의 건축을 위하여, 마이클 베네딕트, 계소라 역, 2002, 미건사
현실의 건축을 위하여, 마이클 베네딕트, 계소라 역, 2002, 미건사 For an Architecture of Reality, Michael Benedikt, 1987 p.8 각각 다른 형태로 소통하지만, 소설과 시는 "전달하고자" 의도하는 공허한 현실의 창이다. 그 실체는 잠재적이지도 이상적이지도 않다. 이는 스스로 포괄하는things-in-themselves 명백해 보이는 세계를 향한 현실이다. 반면 저런류의 집은 의사소통이나 '적절한' 메시지를 창출하기 위해 거리를 두고 다소 오만하게 사용되는 상징 이상의 무엇을 의도하는 듯 보인다. p. 20 ...물리학에서부터 사회학을 망라하는 최근의 과학적 사고는, 데이터, 매스컴의 사건들, 여론, 광고와 이 모든 교류 가능한 것들의 결탁으로 만들어지는 엔터..
✨사회학적 파상력, 김홍중, 2016, 문학동네
✨사회학적 파상력, 김홍중, 2016, 문학동네 프롤로그 p. 9 책의 제목에 사용된 '파상력'이라는 용어는 원래 2007년 발표한 논문 「발터 벤야민의 파상력 연구」에서 처음으로 제안된 개념이다.(김홍중, 2007) 위의 논문에서 나는 '파괴-수집-재구성'으로 이루어진 벤야민의 독특한 방법론을, 상을 파괴하는 힘으로 집약하여 이해하고자 했다. 이 책에서는 용어의 의미를 더 확장시켜, 나 자신이 수행하는 사회학적 작업의 힘이자 윤리이자 자세이자 방법인 무언가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하고자 한다. 파상이란 기왕의 가치와 열망의 체계들이 충격적으로 와해되는 체험을 가리킨다. p. 10 파상의 시대는 문명사적 변동기이며, 대안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은 상황에서 과거의 꿈들이 자신의 한계를 들어내며 문제화되는 시..
건축 이전의 건축, 공동성: 사회와 인간에 지속하는 건축의 가치, 김광현, 2001, 공간서가
건축 이전의 건축, 공동성: 사회와 인간에 지속하는 건축의 가치, 김광현, 2001, 공간서가 p.9 건축을 하는 사람, 건축을 배우는 사람, 건축을 생활의 일부로 여기며 살아가는 사람 등 모든 사람에게 공통적으로 다가오는 감각이 있다. 이를 '공통감각'이라고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건축에는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다가오는 가치와 본질이 있다. 건축물의 모양이 어떠하며 어디에 어떻게 지어졌는가 하는 조건을 넘어, 집을 짓고 그 안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마음이 돌과 나무와 흙으로 만들어진 건물의 거친 물질 속에 배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그런 물질과 공간이 결합한 결과물 위에서 사람은 자신의 소중한 삶을 영위해 간다는 사실이 있다. 이를 이 책에서는 '공동성'이라고 이름 붙이고 있다. p. 27 ...공동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