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기억의 파괴, 로버트 베번, 나현영 역, 2011, 알마
집단 기억의 파괴, 로버트 베번, 나현영 역, 2011, 알마 The Destruction of Memory: Architecture at War, Robert Bevan, 2006 p.8 도서관과 미술관은 역사적 기억의 저장고이자 특정 집단의 현전을 과거와 잇고 현재와 미래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증거다. p. 16 해나 아렌트(한나 아렌트)가 주장하듯 "인간 세계의 실재성과 확실성은 무엇보다 우리를 둘러싼 사물이 그 사물을 생산한 활동보다 더욱 영구적이라는 사실에서 비롯한다." 친숙한 사물을 모두 잃는다는 것, 즉 한 개인을 둘러싼 환경이 남김 없이 파괴된다는 것은 그 사물들이 불러일으키는 기억으로부터 추방당해 방향감각을 상실함을 의미한다. 개개인의 집단 정체성과 이 정체성들의 견고한 연속상이 상실된 위..
내가 있는 곳, 줌파 라히리, 이승수 역, 2019, 마음산책
내가 있는 곳, 줌파 라히리, 이승수 역, 2019, 마음산책 Dove Mi Trovo, Jhumpa Lahiri, 2018 p. 5 장소를 옮길 때마다 나는 너무나 큰 슬픔을 느낀다. 추억이나 고통, 즐거움이 있던 곳을 떠날 때 그 슬픔이 더 크지는 않다. 충격을 받을 때마다 출렁이는 단지 속 액체처럼 이동 자체가 날 흔든다. -이탈로 스베보, 『에세이와 흐트러진 페이지』 p. 13 나는 나이면서 그렇지 않아요. 떠나지만 늘 이곳에 남아 있어요. 길에서 p. 17 인생을 같이 만들어나갈 수도 있었을 한 남자 사무실에서 p. 23 그는 이 년 전에 죽었다. 이곳에서 죽은 건 아니지만 그의 뭔가가 남아 있어서, 나는 이 방이 무덤이라 생각한다. 매표소에서 pp. 78-79 길 끝에 멋진 극장이 있다. 18..
건축과 해체, 베르나르 츄미, 류호창 서정연 역, 2002, 시공문화사
건축과 해체, 베르나르 츄미, 류호창 서정연 역, 2002, 시공문화사 Architecture and Disjunction, Bernard Tschumi, 1996 들어가기 Introduction p. 16 공간이 사회적 변혁의 평화적인 도구가 될 수 있을까? p. 18 필자가 비평과 개혁적 역할의 결합을 주창하면서, 동시에 진정한 우리 자신의 모습을 외면했던 지식인과 건축가로서의 우리의 한계를 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필자는 가능한 정치적 활동으로서 두 가지 유형의 활동이나 전략을 제의했는데, 이것을 '모범적인 활동exemplary actions'과 '카운터디자인counterdesign'라고 지칭했다. '모범적인 활동'은 엄밀하게 말해서 건축적인 도시 구조와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 그것은 아울러 ..
✨사람, 장소, 환대, 김현경, 2015, 문학과 지성사
✨사람, 장소, 환대, 김현경, 2015, 문학과 지성사 1장 사람의 개념 p. 43 ...군대에서 이런 과정은 훈련이라는 이름으로 합리성을 부여받고 있지만, 그 진정한 목적은 군인들의 인격을 부정하여 그들을 사물로, 사회적으로 죽은 사람으로 만드는 데 있다. 모독mortification의 어원에 죽음mort이 있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그런데 군인들이 이렇게 인격을 박탈당하고 물건처럼 사용되는 동안에도 국가들-'주권자들'-사이에서는 인격적 관계가 유지된다(만일 그렇지 않다면 강화가 불가능할 것이다). 국가들은 서로 전쟁을 벌이기도 하지만, 동맹을 맺고, 우의를 다짐하고, 돈을 꿔주거나 갚고, 축구 시합을 하기도 하는 인격체들이다. 2장 성원권과 인정투쟁 pp. 78-79 깨끗한 여성과 더러운 여성의 차..
사당동 더하기 25: 가난에 대한 스물다섯 해의 기록, 조은, 2012, 또하나의문화
사당동 더하기 25: 가난에 대한 스물다섯 해의 기록, 조은, 2012, 또하나의문화 p.9 사당동 달동네에서 여덟 살, 열한 살, 열네 살이었던 금선 할머니의 손주들은 이제 서른셋, 서른여섯, 서른아홉 살이다. 이 가족을 따라다니면서 한편으로 이야기꾼 사회학자가 되었고 다른 한편으로 밑으로부터 사회학 하기에 빠져들었다. 이제 나는 한때의 도시빈민이 25년이 지난 뒤 빈곤의 회로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에 답하는 것이 아니라 왜 그 질문에 확답할 수 없는가에 대해서 글쓰기를 시작한다. p.53 조교들이 부부 위장 간첩으로 불려 갔다 온 사건은 한편으로 매우 황당한 경험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 연구자의 구술 생애사에 대한 관심을 촉발시켰다. 불려 가면 진술서라는 것을 쓰는데 일종의 자기 생애사를 쓰는 것이었다...
건축 개념의 네 가지 기둥, 제임스 테이트, 김훈 역, 2018, 시공문화사
건축 개념의 네 가지 기둥: 끝까지 살아남는 건축 개념을 위한 32가지 생각들, 제임스 테이트, 김훈 역, 2018, 시공문화사Spacetime The Architecture Concept Book, James Tait, 2018, London: Thames & Hudson Ltd. 서문 p.7 현재, 건축 개념이란 용어는 아이디어와 실체적 건축 사이의 연결이 끊어졌음을 넌지시 드러내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실상은 그렇지 않다. 이 둘은 분리된 옥립체들이 되어서는 안된다. 건물은 창의적인 개념을 물리적으로 표명한 결과물이 되어야 한다. 이렇게 되었을 때 건축가에게 개면이란, 지어야 하는 이유가 된다. 그리고 우리에겐, 언제나 지어야 할 이유가 있어야 한다. 가늠하기assessing pp. 19- 규모S..
미디어는 마사지다, 마셜 맥루한・퀜틴 피오리, 김진홍 역, 2001, 커뮤니케이션북스
미디어는 마사지다, 마셜 맥루한・퀜틴 피오리, 김진홍 역, 2001, 커뮤니케이션북스 The Medium is Massage, Marshall Mcluhan, 1967 pp. 8-9 사회는 커뮤니케이션의 내용보다는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 되는 미디어의 특성에 의해 형성되어 왔다. 예컨대 문자는 어린이들에게 있어서 완전한 무의식상태에서 흡수되는, 말하자면 삼투작용에 의한 하나의 테크놀로지이다. 단어와 단어의 의미는 어린아이들에게 특정한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할 소지를 제공한다. 문자나 인쇄 테크놀로지는 특정한 분과과정과 전문화과정, 그리고 일탈과정을 촉진하고 조장해 왔다. 전자 테크놀로지는 통합과 몰입을 촉진하고 조장한다. 미디어의 역할에 관한 지식 없이는 사회적 변화와 문화적 변화를 이해할 수 ..
불타버린 지도, 아베 코보, 이영미 역, 2013, 문학동네
불타버린 지도, 아베 코보, 이영미 역, 2013, 문학동네 Moetsukita Chizu, 1967, Abe Kobo p. 14 다시 살펴보니 오가는 사람도 꽤 있지만 초점이 너무나 아득한 이 풍경 속에서는 이간이 오히려 가공의 영상 같다. 그렇지만 이곳 생활이 익숙해지면 입장은 역정되어 버리겠지. 풍경은 점점 더 아득하게, 거의 존재하지 않을 정도로 투명해지고, 내 모습만이 네거필름에서 인화된 화상처럼 떠오른다. 스스로 나 자신을 분별해낼 수 있으면 그것으로 족하다. 하나같이 똑같은 인생의 정리대가 몇백세대 늘어서 있든 어차피 각각의 가족사진을 유리 액자틀에 지나지 않을테니까... pp. 287-288 누구를 위해 맥이 뛰는 것일까. 자기도 모르는 새에 계속해서 맥이 뛰는 이 거대한 심장.... 도시..
웃음과 망각의 책, 밀란 쿤데라, 백선희 역, 2011, 민음사
웃음과 망각의 책, 밀란 쿤데라, 백선희 역, 2011, 민음사 Le Livre du rire et de l'oubli, 1979, Milan Kundera 1부 잃어버린 편지들 p.19 그녀는 고개를 저었다. “절대로 안 줄 거야.” 그는 거짓말을 했다. “그냥 잠시 빌리려는 거야.” 그녀는 다시 고개를 저었다. 그는 이 아파트 어딘가에 그의 편지가 있고, 그녀가 언제라도 아무에게나 그 편지들을 읽어 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기 삶의 한 조각이 즈데나 손에 남아 있다는 사실이 그는 견딜 수 없었다. 3부 천사들 p.127 그녀는 그렇게 얼마 동안 남아서 신경을 곤두세우고 주변을 둘러보았다. 그러다 갑자기 그 불가사의한 음악이 멎었다. (미셸과 가브리엘은 이미 웃음을 멈추었다. 두 사람은 갑자기 ..
집단지성, 피에르 레비, 권수경 역, 2002, 문학과지성사
집단지성, 피에르 레비, 권수경 역, 2002, 문학과지성사 L'intelligence collective, 1994, Pierre Lévy p.20 새로운 유목공간은 지리적 영토도 제도나 국가의 영토도 아니다. 그것은 인식・지식・사유의 힘으로 이루어진 보이지 않는 공간으로서, 그 안에서 존재론적 자질 및 사교 방식들이 개화하고 이동한다. p.38 집단 지성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어디에나 분포하며, 지속적으로 가치 부여되고, 실시간으로 조정되며, 역량의 실제적 동원에 이르는 지성을 말한다. 이러한 정의에 다음 사항을 덧붙이자. 집단 지성의 토대와 목적은 인간들이 서로를 인정하며 함꼐 풍요로워지는 것이지 물신화되거나 신격화된 공동체 숭배가 아니다. pp.39-40 지성을 실시간으로 조정하는 것은 통신 설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