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

건축과 해체, 베르나르 츄미, 류호창 서정연 역, 2002, 시공문화사

건축과 해체, 베르나르 츄미, 류호창 서정연 역, 2002, 시공문화사

Architecture and Disjunction, Bernard Tschumi, 1996

 

 

 

들어가기 Introduction

 

p. 16

공간이 사회적 변혁의 평화적인 도구가 될 수 있을까?

 

p. 18

필자가 비평과 개혁적 역할의 결합을 주창하면서, 동시에 진정한 우리 자신의 모습을 외면했던 지식인과 건축가로서의 우리의 한계를 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필자는 가능한 정치적 활동으로서 두 가지 유형의 활동이나 전략을 제의했는데, 이것을 '모범적인 활동exemplary actions'과 '카운터디자인counterdesign'라고 지칭했다. '모범적인 활동'은 엄밀하게 말해서 건축적인 도시 구조와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 그것은 아울러 사회의 보수적인 가치와 기준을 파괴하기 위한 갈등의 분열을 의미하기도 한다. 

 

pp. 23-24

여기서 이론과 문화적 작품 사이의 연관성을 건축가들이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너무 많다는 점을 지적해야 할 것같다. 건축가들은 건축의 형태나 구체적인 실행을 만들어 내거나 정당화시키는 수단으로만 이론을 보려고 한다. 

 

 

 

건축의 모순 The Architectural Paradox
원래 1975년 9-10월 Studio International지에 처음 게재된 'Questions of Space: The Pyramid and the Labyrinth (or the Architectural Paradox)'와는 다소 다른 형식을 띄고 게재된 것.

 

p. 38

피라미드: 공간의 본질(혹은 건축물의 비물질화)에 대하여

 

p. 42

미로: 공간 명확하게 만들기 (또는 공간 경험) 

 

pp. 43-44

단지 지금 우리가 다루고 있는 주제가 (a) 공간은 상징적 감정이입Einfuhlung에 의하여 인간의 내재적 본성에 작용함으로써 '느껴진다felt'는 독일의 미학적 공감각Raumempfindung이론과 (b) 공간은 경험의 매개일 뿐만 아니라 이론을 구체화시키는 것이라는 바우하우스의 슐레머Schlemmer의 작업을 연상시키는 아이디어 사이를 오락가락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으로 충분하리라. 예를 들어 '공간 창조적인 충동을 구현하는 기본적인 방법'인 춤동작을 주의해서 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춤이 공간을 분할하고 질서를 부여할 수 있기 떄문이다. 무용수의 움직임과 벽과 기둥에 의해서 공간이 분절되고 한정되는 전통적인 방법간의 유사점은 매우 중요하다. 1960년대 중반 무용수인 브라운Trisha Brown과 포티Simone Forti가 이런 공간에 대한 논의를 다시 거론했을 때, 이론과 실제의 관계, 논리와 지각의 관계는 새로운 전기를 맞았는데, 이론적 응용에 대한 생각이 단순히 암시하는 것에 그칠 수 없었으며, 예술 언어에서의 경험이 그대로 공간에 적용될 수도 없었다. 만일 예술에 관한 논의가 예술 그 자체이며 따라서 예술로서 표현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공간에 관한 이론적 논의 그 자체가 공간이 될 수는 없지 않겠는가.

 

p. 45

셀란트Germano Celant가 말한 '빈약한 공간deprived space'에서 사람들은 그들 자신만의 대상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자신들 만의 환상과 충동을 알게 되고, 그들의 신체에서 나오는 미미한 신호에 반응할 수 있게 된다. 

 

p. 49

실제로, 건축은 경험의 실체로 이루어졌지만 이런 경험의 실체는 총체적인 상상력을 바탕으로 얻어진다. 건축은 절대적 진리의 추상성으로 이루어졌지만 이런 진리는 지각을 통해서 얻어진다. 우리는 경험을 하면서 동시에 우리가 경험한다는 것을 생각하지 못한다. "개의 개념은 짖는 것이 아니다"(각주: B. Spinoza. 저자와의 대화 중 앙리 르페브르의 인용, Paris , 1972)는 말처럼 공간 개념은 공간 안에 있는 것이 아니다. 

 

p. 51

에로티시즘과 마찬가지로 건축도 체계system와 과잉excess을 모두 필요로 한다.

 

 

 

공간에 관한 논제  Questions of Space
원래 Themes III: The Discourse of Events(London: Architectural Association, 1983)지에 처음 발표된 것

 

p. 58

1.7     만일 유클리드 기하학적 공간을 3차원적 물체의 집합체로 제한한다면, 비유클리드 기하학적 공간은 4차원적 시공간 내에서의 연속된 이벤트라고 제한할 수 있을까?

2.1     만일 공간 지각능력이 사람마다 다르다면, 그들은 과거 경험의 산물로서 각기 다른 세계를 형성하는가?

 

p. 60

3.0     공간의 언어(공간 언어)라는 것이 있는가?

 

p. 61

3.3     (언어학자에 한해서) 만일 공간이 단지 하나의 사물에 불과하다고 한다면, (a) 공간은 사고와 언어를 결정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가? (b) 사고와 함께, 공간은 언어에 의하여 결정되어지는가? (c) 언어와 함께 공간은 사고에 의하여 결정되는가?

 

 

 

건축과 일탈  Architecture and Transgression
원래 Themes III: The Discourse of Events(London: Architectural Association, 1983)지에 처음 발표된 것

 

p. 67

일탈은 흔히 부딪치는 한계를 넘어가는 문을 열어주지만, 여전히 그런 한계를 포함하고 있다. 일탈은 세속적인 현실 세계의 한계를 극복하는 보조적인 것으로, 그것은 한계를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능가하는 것이다.

조오지 바타이유Georges Bataille  『에로티시즘』

 

제 1부: 모순 paradox

제 2부: 에로티시즘 eroticism

pp. 71-72

모순의 첫 번째 특징은 즉각적이고 노골적인 특징이 있다. 그것은 에로티시즘과 유사하다. 관능과는 달리 에로티시즘은 단순히 감각적 쾌락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에로티시즘과 다른 것은 단순한 공간적 인식이 건축과 다른 것과 같다. "에로티시즘은 쾌락의 과잉이 아니라 과잉의 쾌락이다". 이런 일반적 정의는 우리의 논점을 시사한다. 공간의 감각적 경험이 건축을 만들지 않듯이 단순한 감각적 쾌락이 에로티시즘을 만드는 것은 안디ㅏ. 

 

p. 73

당시의 부르주아 그룹의 기준으로부터 벗어나서 '모던'이라고 지칭됐던 1930년대의 영웅적인 전통은 당시 사회의 깊고도 무의식적인 두려움이 반영되어있다. 삶은 죽음을 부정하는 것으로 보였다. 죽음을 부정적으로 생각했고, 심지어는 배제되기조차했으며, 죽음 자체의 개념을 넘어서서 부패해 가는 살덩이의 무정적 의미로까지 확장되었다. 죽음에 대한 고뇌는 오직 부패 단계만이 연계된다. 왜냐하면 백골은 부패된 살덩이에서 느껴지는 역겨운 면이 없기 때문이다. 건축은 이런 심오한 감각을 반영하고 있다. 즉 스러져가는 건물들은 용납되지 않았지만 빛바랜 백색의 모습 그대로의 유적은 품위가 존망을 받았다. 

 

제 3부: 일탈Transgression

p. 79

문자적 혹은 현상적인 일탈을 통해서 보았을 때, 건축은 수시로 일어나는 실제 공간과 이상 공간의 합일점으로 보였다. 일탈이 공간이나 건축과 연관된 규범이나 기준을 조직적으로 파괴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므로 여전히 한계는 있다. 하지만, 일탈의 개념은 안과 밖, 그리고 개념과 경험의 관계를 새롭게 분명하게 정리한 것으로, 간단히 말해 이것은 용납할 수 없는 유행을 극복해보자는 의미이다.

 

p. 81

각주 10) Le Corbusier, Vers Une Architecture (Paris: L'Esprit Nouveau, 1928). 한 장의 제목은 'Architecture et Transgression'이다. 르 코르뷔지에의 해석이 바타이유의 해석, 그리고 내 텍스트에서 논의된 해석과 크게 다른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건축의 즐거움  The Pleasure of Architecture
원래 AD(Architectural Design지에 1977년 3월호에 다소 다른 형식으로 처음 발표된 것

 

단편 10  건축에 대한 광고 Advertisement for Architecture

p. 93

책 속에서 건축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글이나 그림은 오직 종이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제적인 공간을 경함할 수 없다. 종이 위의 공간은 가상이며, 하나의 이미지이다. 주변 상황 떄문이던지 이데올로기적인 이유이던지 관계없이 실제로 건물을 짓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상상력에만 의존하여 건축을 표현하는 것에 만족하는 것이 완전히 정상적으로 보인다. 그런 표현은 이성적 개념의 이해와 실제 공간의 감각적 경험을 불가피하게 분리시키게 된다. 건축은 이 두가지 기능을 모두 포함이다. 이 두가지 기준 중에서 하나라도 제외된다면 건축은 무언가 중요한 것을 잃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축가들이 실제로 공간으로 지어지지 않을 때마다 그들의 건축을 언제나 버려야한다는 것은 이상스럽게 보인다. 여기에서 우리는 의문이 생기게 된다. 왜 책이나 잡지의 종이공간이 건축공간을 대신해야만 하는가?

 

p. 94

건축의 단편들(벽, 방, 길, 아이디어의 조각들)은 모두 실제로 보이는 것이다. 이런 단편들은 끝이 없는 시작과 같다. 실제적인 단편들과 가상의 단편들 사이, 그리고 기억과 환상의 사이에는 항상 틈이 있다. 이런 틈은 단편과 단편 사이의 통로로서만 존재할 뿐이다. 그 틈들은 기호가 아니고 교체자이다. 그 틈들은 흔적이며 중개자이다. 

 

 

 

건축의 한계  Architecture and Limits
원래 Art forum에 1980년 12월, 1981년 3월, 1981년 9월에 발표

 

p. 102

     문학, 음악, 연극 등의 경계선상에서 만들어진 작품들과 같이 시도적인 모든 영역에서 같은 맥락의 이야기를 할 수 있다. 그런 극단적 상태는 예술의 양상과 모순을 우리에게 알려준다. 하지만 이런 작품들은 지식인계층의 사치와 하나의 소모적인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항상 예외로 인정되었다.

     건축계에서 그런 경계선상의 산물은 역사적으로 빈번하게 있었을 뿐만 아니라 없어서는 안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그런 시도 없이 건축은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면 없이 건축은 존재하지 않으며, 텍스트 없이도 건축은 존재하지 않는다. 건물은 도면 없이도 세워질 수 있지만, 건축 자체는 건설의 단순한 과정 그 이상이다. 수세기에 걸쳐서 서서히 발전해온 복합적인 문화적, 사회적, 철학적 요구에 의해 건축은 지식 자체의 한 유형이 되었다. 

 

p. 105

건축의 유용성을 부러워하는 것이나 역으로 예술가의 자유를 부러워하는 것은 둘 다 순진성과 작품에 대한 오해를 보여주게 된다. 건물은 유용할 수 있을지 몰라도 건축이 꼭 그런 것은 아니다. 박공이나 계단을 피상적으로 차용한 조각을 건축적이라고 부르는 것은 건축가의 그저 그런 수채화나 광고 회사의 선전용 그림을 회화라고 부르는 것 만큼이나 순진하다고 할 수 있다. 

 

 

건축의 폭력성 Violence of Architecture
원래 Art forum에 1981년 9월 발표

 

p. 117

     1. 행위가 없다면 건축은 존재하지 않으며, 이벤트와 프로그램이 없다면 건축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2. 이런 연장선상에서 폭력이 없다면 건축은 존재하지 않는다. 

 

공간에 폭력을 가하는 육체Bodies Violating Space

p. 119

폭력이 항상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폭동이나 소요, 반란, 혁명이 제한된 시간 동안에서 지속되는 것처럼 공간에서 몸이 저지르는 폭력도 일시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간은 늘 암시적이다. 문은 누군가가 열고 지나가는 움직임을 암시하며 통로는 그 안을 막고 있는 무언가의 연속된 움직임을 암시하고 있다. 건축의 모든 공간은 그 공간을 점유할 외적인 존재가 있음을 암시하며 또한 원한다. 

 

육체에 폭력을 가하는 공간Space Violating Bodies

폭력, 또 하나의 의식Violence Ritualized

프로그램: 상호작용 그리고 갈등Program: Reciprocity and Conflict

p. 124

쿨레쇼프kuleshov의 실험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이 실험은 배우의 무표정한 얼굴을 찍은 동일한 장면을 여러 가지의 다양한 상황과 조합시켜 보여주었을 때 이를 보는 사람들이 각각의 연속적인 조합을 서로 다른 표현으로 해석함을 보여주었다. 똑같은 경우가 건축에서도 발생한다. 즉, 이벤트는 각각의 새로운 공간에 의해 변경된다. 또한 역으로, 모순적인 프로그램을 이미 주어진 '자율적인' 공간 탓으로 돌림으로써 공간이 새로운 차원의 의미를 얻기도 한다. 

 

p. 126

만약 폭력이 어떤 관계성의 강도에 대한 주된 은유라면 건축이 갖고 있는 물리성이야 말로 이런 은유를 초월한다. 건축에는 깊은 관능, 아직 방출되지 않은 에로티시즘이 존재한다. 건축에 잠재된 폭력은 유희에 작용하는 합리적 또는 비합리적 힘과 같이 힘의 성질에 따라 변화한다. 이러한 힘은 부족할 수도 과도할 수도 있으며, 실내에서 최대한 억제되는 움직임 역시 과도한 활동만큼이나 혼란스러울 수 있다.

 

 

공간과 이벤트 Space and Events
원래 Themes III: The Discourse of Events(London: Architecture Association, 1983) 발표
**라빌레뜨에 대한 배경 설명이 많이 나온다

 

p. 137-138

     나는 영국 AA스쿨에서 "이론, 언어, 성향"이라고 명명된 하나의 프로그램을 창안하였다. 이 프로그램에서는....학생들로 하여금 도시에 관한 정치적 혹은 이론적 관심과 사진, 추상예술, 또는 행위예술 등에 의해 영향받는 예술적 감수성 사이의 대립을 표현하도록 하였다. 

 

p. 142

만일 움직임의 표기가 공간 내에서 실제 인간의 움직임을 규정하고자 하는 우리의 의도에서 발전한 것이라면, 그것은 곧 바로 하나의 기호가 되어 실제의 움직임을 의미한다기보다는 움직임의 개념 -여기서 움직임의 개념이란 표기법의 한 방식으로서 건축 역시 공간에서 발생하는 신체의 움직임에 관한 것이며, 따라서 건축의 언어와 벽체 구성의 언어는 궁극적으로 상호보완적이라는 것을 제시한다-을 의미하게 된다.

 

p. 143

프로그램(살인, 관능, 폭력) 상에서든 또는 표현(강렬하게 윤곽이 드러나는 이미지, 마치 급강하하는 폭격기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왜곡된 시각)의 방식에서든 극적인 요소에 매료되는 것은 반응을 촉발하게 된다. 따라서, 건축은 어떤 행위를 위한 하나의 배경이 아니라 행위 자체가 된다. 

 

 

시이퀀스 Sequences
원래 The Princeton Journal: Thematic Studies in Architecture, vol. 1, 1983 발표

 

p. 155

만일 공간적 시이퀀스가 불가피하게 관찰자의 움직임을 수반한다면 움직임은 순서에 따라 객관적으로 표시될 수 있고 공식화될 수 있다. 안무법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표기법의 연장으로서의 움직임의 표기법은 움직임의 공간적 효과에 집중하기 위해 특정 행위에 주어진 선입견을 없애는 데 이용된다. 여기서 공간적 효과란 공간 안에서 몸의 움직임을 말한다.(댄서, 축구선수, 곡예사)

 

p. 155

로트르망Lautreamont에 있어 움직인다는 것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어떤 인물을 연기하는 것, 몸의 어떤 율동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가 도망간다...그가 도망간다." 또는 "어떤 미친 여자가 춤을 추며 스쳐 지나간다."

 

 

추상적 매개와 전략 Abstract Mediation and Strategy
원래 The Princeton Journal: Thematic Studies in Architecture, vol. 1, 1983 발표
**본격적인 라빌레뜨 설계에 대한 설명이 있다.

 

p. 193

가장 중요한 것은 계획안이 건축의 근본적인 또는 일차적인 의미, 즉 데리다Derrida가 La Case Vide에서 언급했듯이 기능적 용도를 전제로 한 의미의 경제성에 순응해야한다는 건축 경향에 이의를 제기했다는 점이다. 대조적으로 라 빌레뜨 계획은 프로그램적 불안정성과 기능적 폴리를 조장하였다. 완전함이 아니라 대신에 '텅 빈' 형태이다. 

     따라서, 라 빌레뜨는 아무 것도 의미하지 않는 건축, 의미가 아니라 언어로서의 건축, 즉 언어의 유희 또는 순수한 흔적으로서의 건축을 지향하였다. 니이체Nietzsche식으로 표현하자면 의미의 고정을 거부하는 것은 무의미가 아니라 의미의 복수성을 뜻하기 때문에 라 빌레뜨는 무한한 해석을 향해 계속 움직인다. 

 

 

반대, 분리, 이탈 De-, Dis-, Ex-
원래 The Princeton Journal: Thematic Studies in Architecture, vol. 1, 1983 발표

 

p. 207

비릴리오는 불변성의 폐지가 시간인자로서의 거리 개념을 붕괴시킴으로써 현실을 혼란스럽게 한다고 주장하였다.....일부 예상치 못한 결과들, 오랜 기간 유명했던 우상의 일부 흥미있는 왜곡 등은 예상할 수 있다. 도시와 도시의 건축은 그 상징을 잃었다. 더 이상의 기념비적 작품도, 축도, 인간을 닮은 좌우대칭도 더 이상 존재치 않으며 대신에, 단편화, 분할, 세분화, 그리고 충돌을 통한 관계이외에는 어떠한 관련도 없는 이미지들의 무작위적 중첩만이 남아있다. 일부 건축프로젝트에서 폭발이란 개념을 승화시키는 것도 놀랄 일은 아니다. 몇몇 건축가들은 폭발의 개념을 그림의 형태로 표현하고 있는데, 이런 그림에서 평면, 보, 기둥들은 외부공간의 어두움 속으로 붕괴하고 있는 듯 보인다. 심지어 일부 건축가들은 그런 폭발과 다른 우연한 사건들을 실제로 만드는데 성공하고 있다.

 

 

여섯가지 개념 Six Concepts
원래 The Princeton Journal: Thematic Studies in Architecture, vol. 1, 1983 발표

 

pp. 217-218

기호학과 언어학이 건축계를 강타하였다. 자주 잘못 이해되기도 하지만, 노암 춈스키, 움베르토 에코, 그리고 롤랑 바르트의 저작들은 기호화에 관한 새로운 건축적 전략을 알리는 것이었으며, 이로 인해 일반인들과 학자들 모두 중성적인 건물로 남아있던 것에 덧붙여졌던 다중적 의미를 마침내 해독할 수 있게 되었다. 1968년에 이미 바르트는 도시계획과 건축에 관한 그의 몇 안 되는 실험적 작업에서 의미를 확정한다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결론지었던 반면에, 포스트모던 건축가들과 비평가들은 건물의 입면이 암시, 인용, 그리고 역사적 선례의 영역을 전달할 수 있다고 하는 의미로서의 건축을 주장하는 유별난 일을 벌이고 있었다.

     이들이 주장하는 암시에서 특이한 점은 모든 암시가 건축 문화의 극히 편협한 부분만을 언급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첫째로 포스트모던건축은 건축의 표면이나 이미지, 건축의 외형만을 다루며 그 구조나 용도는 전혀 취급하지 않았다. 둘째로 로마시대의 궁전, 주택건축 그리고 영국의 토속건축, 또는 전원생활의 꿈으로 묘사될 수 있는 보수적인 중산층이 선호하는 건축 등 매우 제한된 이미지들만이 제시되고 있었다. 그런데, 포스트모더니즘 대신에 새로운 형식주의적 어휘를 제시한 흐름에서도 동일한 상황이 종종 발생하였는데 역시 이미지와 표면에 관한 것으로 구조와 용도는 언급되어지지 않았다. 사실, 산업화되고 대도시화된 우리 사회에 문화는 존재하지 않는다....대신에, 우리에게는 산업화 이전의 사회 -공장이나 슈퍼마켓, 컴퓨터, 또는 핵 이전의- 에 대한 일련의 고정된 이미지가 제공되고 있다. 

 

 

 


 

 

 

*르 코르뷔지에 새로운 건축을 향하여Vers une Architecture

로버트 벤츄리 건축의 복합성과 대립성Complexity and Contradiction in Architecture

푸코 건축과 파워에 대한 논고, 광기의 역사

『도시 정치학의 연대기A Chronicle of Urban Politics

바르트Roland Barthes  이야기의 구조적 분석Structural Analysis of Narratives

덧쓰기 Palimpsestes   제랄드 지넷Gerald Genette (한국어 번역서는 없는듯)

L'Espace Critique, Paul Virilio "도시에서 통제는 해제되었다"

리오타르의 근대성

Stuart Ewen 『소비의 이미지All Consuming Images

 

 

*Archizoom 'Non-Stop City'

Superstudio 'Continuous Monument'

 

*Sollers

Tel Quel

Burroughs

 

*아베 로지에Abbe Laugier "건축 비평Observation sur L'architecture"

맨프레도 타푸리 "건축과 유토피아" 

 

*Jakobson, Chomsky, Benveniste. 

 

 

 

 

-베르나르 츄미의 라 빌레뜨 공원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다면 책 후반부를 참고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