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

콘크리트 유토피아, 박해천, 2011, 자음과 모음

콘크리트 유토피아, 박해천, 2011, 자음과 모음








- 프로이트... 그는 외상적 신경증과 관련된 반응의 양상을 크게 불안, 공포, 경악으로 분류한다.

불안은 정체가 불분명한 위험이 임박했음을 예감하고 막연하게나마 그에 대처하고 있는 상태.

    어떤 위험이 들이 닥치리라는 것을 눈치채고 있지만, 그 구체적인 내용은 알 수 없는 상황

공포는 그 대상이 뚜렷하게 확정되어 있지만 그것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들이닥칠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비록된다. 불안과 공포는 위험에 대한 심리적인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이다....하지만 경악은 다르다. 그것은 전혀 예상치 못했던 어떤 돌출 상황때문에 주체의 심리적 거리감이 순식간에 붕괴되는 상황에서 비록된다. 아무런 방어기제도 마련하지 못한 상황에서 고통을 느낄 사이도 없이 벌어지는 압도적인 충격의 사건들. 그 앞에서 주체는 경악한다. 


- 설계자들... 그들이 목표로 설정한 것은 미래의 신시가지에서 자생적으로 증식하며 구도심을 포위할 수 있는 확산의 전략적 모델이었다. 그리고 이때의 확산은 대량복제를 통한 특징적 주거 모델의 확산 뿐만 아니라, 그 모델에 내재한 새로운 습속의 확산까지 포함하는 것이었다.


-...현관에 들어선 사람의 시선 앞에서 거실의 사물들은 아무런 저항없이 순순히 무장해제 당하고....


- 사랑과 사물의 관계가 한껏 납작해졌던 것이다....사물의 기호화된 표면에서 시각적 쾌락을 성취하는 법을 습득해야 했던 것이다.


- 강운구 사진 작가


- 정교한 사회적 판타지


- 남진우, 견딜 수 없이 가벼운 존재들, 숲으로 된 성벽, 문학동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