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

현실의 건축을 위하여, 마이클 베네딕트, 계소라 역, 2002, 미건사

현실의 건축을 위하여, 마이클 베네딕트, 계소라 역, 2002, 미건사

For an Architecture of Reality, Michael Benedikt, 1987

 

 

 

 

p.8

각각 다른 형태로 소통하지만, 소설과 시는 "전달하고자" 의도하는 공허한 현실의 창이다. 그 실체는 잠재적이지도 이상적이지도 않다. 이는 스스로 포괄하는things-in-themselves 명백해 보이는 세계를 향한 현실이다. 반면 저런류의 집은 의사소통이나 '적절한' 메시지를 창출하기 위해 거리를 두고 다소 오만하게 사용되는 상징 이상의 무엇을 의도하는 듯 보인다. 

 

p. 20

...물리학에서부터 사회학을 망라하는 최근의 과학적 사고는, 데이터, 매스컴의 사건들, 여론, 광고와 이 모든 교류 가능한 것들의 결탁으로 만들어지는 엔터테인먼트로 끊임없이 산만해진다. 이는 인용의 체계에 관련된 중립을 지키며, 심리적 세계관, 나아가 휴머니즘에 관한 정당성으로 설득되는, 현실은 "알 수 없음"이라는 가정까지도 옹호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인용 부호 없이 더 이상 "현실"이라는 단어를 쓸 수 있는지 (혹은 인용부호 없이 말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품게 되는 것이다. 

 

p. 28

그렇다면 건축가의 "예술을 향한 맹렬함", 말하자면 예술의 독특하고도 어려운 "비현실성"을 달성하려는 분투가 있다면, 그 시도에 해 두었던 표시들을 잃을 것같은 가능성이 있다면, 우리가 최근의 건축사에 표현된 모든 "비-현실un-realities"들을 찾아내지 못할 것 같은가? 우리는 분별할 수 있어야 한다: 꿈의 건축, 게임의 건축, 허상의 건축, 공연의 건축(공연 전의 건축, 재공연 되는 건축), 그리고 농담의 건축 같은 것들을 말이다. 

 

p. 32

현실적임realness은 네 가지 요소로 분류될 수 있고, 그 마지막 요소는 두 양상으로 나눌 수 있다(고 생각한다):

현존, 있음presence,

의미significance,

재질감materiality, 그리고

비어있음emptiness (emptiness1, emptiness2)

 

p. 48

건물이 무엇으로 만들어졌는지 볼 수 있는 명백함, 무엇 때문에 그렇게 만들었는지, 그리고 그 건물이 어떤 방법으로 보이는지는 모두 위 두 가지 사항을 반영하는데 필수적이다. 이는 재질감에서 건물의 현실성을 최대한 이끌어내고자 함이다. 폐허와 아주 오래된 건물들은 설명한다. 닳고 보수된 흔적, 갈라진 틈과 붕괴는 모든 것을 드러낸다; 그리고 이 명쾌한 재질감이 존재와 의미와 결합될 때 이 구조들의 현실됨은 지워질 수 없다. 폐허와, 우리의 추론으로 미루어 볼 때는 무덤덤하고 수수께끼 같은 꽤 괜찮은 지역 특유의 건물들(거의 디자인 되지 않은)의 힘을 설명하는 현실됨에 관한 또 하나의 요소가 있다: 비어있음emptiness이다.

 

p. 50

그렇다, 비어있음은 의심할 바 없이 말로 표현하기에 가장 어려운 현실됨의 요소지만, 아마도 가장 중요한 요소일 것이다. 이는 직감적으로 어떤 면에서 어떤 면에서만 분석될 수 있으며, 그 어느 때 보다도 언어로 시사함이 필요하다.

 

p. 54

자기도취 없이 디자인 하는 것은 얼마나 어려운가; 수사법 없이, 교모함, 자만, 혹은 이끌어낼 이익 없이 형태를 만드는 것 말이다. 소수의 건축가만이 원숙기에 성공한다. Louis Kahn은 그러기 위해 공개적으로 분투했던 자이며, Fort Worth에 있는 Kimbell Museum과 La Jolla에 있는 Salk Institute에서 성공했다. 비어있음에 대한 Kahn의 말은 "침묵"이었고 결과적으로 킴벨의 정면이 된 열려있는 사이클로이드 형 볼트를 느끼려면 그 침묵의 소리를 들어야 한다. ("이 포치들이 왜 멋있는지 알고 있습니까?" 그가 말했다, "그들이 너무나 불필요하기 때문입니다.") Mies van der Rohe 익명과 무 스타일의 추구 역시 같은 식견에서 유발된 것이지만, 그는 합리성과 일종의 과대망상적 이상에 대한 집착으로 절름거렸다. 반면 Adolf Loos는 오래 전에 "침묵"에 도달했다: 그가 주장한 건축의 의미와 "언어"는 건물 자체-재료와 구출기술, 관능적이고 사랑받지 못한, 투명한 완벽함을 불러 일으키는- 이상 그 무엇도 아니었다. 

 

p. 56

비어있음2은 공간 혹은 시간적 간격에 대한 개념에 조금 더 가깝다 일본인들은 여기서 의도하는 비어있음의 의미에 좀 더 부함하는 ma라는 단어를 가졌다. Ma! Ma는 디딤돌간의 틈새에 있고, 음악에서 음표간의 침묵 속에, 문이 스르르 열릴 떄 생기는 어떤 것 사이에 있다.....그러나 비어있음2은 ma 이지만 또 다른 어떤 것이다. 좋은 벽난로가 우리를 "끌어당김"에 관해 이야기 할 때, 들어가 살아야 할 빈 방에 이끌림을 느낄 때, 미완의 것에서 지속의 기회를 보거나 닫혀있는 어떤 것에서 문을 찾아낼 때...비어있음2이 있다. 

...신 이성주의자neo-rationalist들의 작품에 왕성하게 퍼져있는 침묵과 이 침묵, 이 비어있음은 다르지 않은가. 그들의 것은 묘지의 침묵이고, de Chirico 그림의 초현실적 진공이며, 거기서 건축적 형태는 닫혀있고, 소리나지 않으며 진부하다. 그들의 침묵은 형언할 수 없는 의미로 가득 차 있지도 않으며 그저 갑자기 우리의 귀가 멀어버렸다고 믿게끔 만든다. 

 

 

 

 

 


 

*으잉 조르주 디디 위베르만의 어둠에서 벗어나기의 한국어 번역본 책 디자인와 매우 유사하다.

다만 여기서는 본문 내지가 스노우지와 같이 맨들맨들한 종이로 되어서 색이 많이 번져있었다..ㅠㅠㅠ

(도서관에서 빌린 책이라 그런가, 원어는 주문했으니 한번 오거든 리뷰를 적어봐야겠다.)

 

 

 

*Danto, The Transfiguration of the Commonpl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