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공적인 아주 사적인: 1989년 이후, 한국현대미술과 사진>은 지난 30여 년간 한국 현대미술사에 있어, 사진매체가 어떻게 현대미술의 언어와 조우하며 새로운 작품세계를 구축하여 왔는지를 조망하는 전시이다.
한국 최초의 사진전은 1957년, 뉴욕 현대미술관 순회전인 <인간가족전(The Family of Man)>으로 제 1,2차 세계대전 이후 인간에 대한 본질과 화합의 노력으로 기획된 이 전시는 국내 사진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후 한국에서는 리얼리즘에 근간한 다큐멘터리 사진과 저널리즘 사진이 주류를 이루었따. 본 전시는 한국미술에서 리얼리즘에 근거한 공적이미지로 시작한 '사진'이라는 매체가 1980년대 후반 이후 작가 개인의 개념표현과 심미적 언어로써 가능하게 된 것에 주목하였다.
특히 1989년은 글로벌라이제이션의 측면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중국의 천안문사건(6월), 독일의 베를린 장벽 붕괴(11월), 소비에트 연방의 페레스토로이카(1990년 8월)가 불러온 냉전체제의 종식은 국제 사회의 가치관에 커다란 변화를 주었다. 한국사회는 1988년 올림픽 개최와 1989년 해외여행 자유화를 통해 글로벌화의 급격한 흐름에 동참하게 되었으며, 작가들의 시선과 태도에 있어서 큰 별화를 경험하기도 했다...
이지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운영부장
-CHAPTER 1. 실험의 시작
CHPATER 2. 개념적 미술(conceptual art)과 개념 사진(Concept photography)
CHPATER 3. 현대미술과 퍼포먼스, 그리고 사진
CHPATER 4. 이미지 너머의 풍경: 상징, 반미학, 비평적 지평.
사진 특별전: <패션을 넘어서> 이명희 객원 큐레이터, 두산매거진 편집고문/상무
* 리플렛의 글에서 챕터1과 2에서는 작가들의 이름을 볼 수 있었지만, 이후에는 작가들의 이름을 찾지 못했다.
구본창, 주명덕, 배병우, 민병헌, 이승택, 노순택, 강용석 등등에서 수많은 사진 작가들로 이어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