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HIBITION/2021

경계에서의 신호: 서울시립 서서울미술관 사전프로그램,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2021.9.28-11.7

경계에서의 신호: 서울시립 서서울미술관 사전프로그램,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2021.9.28-11.7

 

 

신미정, 신도, 싱글채널비디오, 컬러, 사운드, 12' 41'', 2017

 

최찬숙, 밋찌나 Myitkyina, 싱글채널비디오, 2채널비디오, 컬러, 사운드, 18' 30'', 2021
주용성, 사라진 목소리, 시트지에 인쇄, 액자 설치, 327*467cm, 2021

 

정재경, 어느 마을, 싱글채널 무빙 이미지, 컬러, 사운드, 12', 2019

버려진 개들에 대한 좋은 영상 작업이다. 

 

박지무, 개똥이, 그것을 찾기보다 잃어버리는 편이 나아, 전선, 고무호스, 고무점토, 합판, 파이프, 와이어, 가변크기, 2021
김방주, 두 의자를 통한 텔레포트, 나는 베를린과 괜찮아 왜냐하면 나는 늦지 않았고 초대도 받았거든, 영상 설치, 11분 2초, 2017

 

 

김영은, 표준음성, 3채널 사운드 설치, 악보, 16', 가변크기, 2021, 2021 서서울미술관 사전프로그램 제작 지원
이우기, 옅은 떨림의 울음소리가 가득한 밤, 디지털 피그먼트 프린트, 180*120cm, 2018
권하윤, 증거 부족, 3D 애니메이션, 싱글채널비디오, 컬러, 사운드, 11' 18'', 2011
박민하, 렌더링, 싱글채널비디오, AR설치, 컬러, 사운드, 14', 2021, 2021 서서울미술관 사전프로그램 제작 지원
백종관, 추방자들, 싱글채널비디오, 컬러, 사운드, 27'', 2018   **촬영 장소가 매우 궁금해졌다.
김방주, 나태하게 누워있는 나무조각, 9개의 각목, 철선, 가변크기, 2021, 2021 서서울미술관 사전프로그램 제작 지원
최찬숙, 밀려나고 새어나오는, 3채널비디오 설치, 컬러, 사운드, 6', 2021
송주원, 뾰루지.물집.사마귀.젤, 3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7' 15'', 2021

 

 

 


-참여작가: 권하윤, 김방주, 김영은, 박민하, 박지무, 백종관, 송민정, 송주원, 수파(성률+크리스티안 슈바이처), 신미정, 우에타 지로, 이우기, 장석준, 장지남, 정여름, 정재경, 주용성, 최찬숙

 

주최: 서울특별시 문화본부, 서울시립미술관

기획: 이성민 학예연구사

 

그래픽디자인: 조은지스튜디오(조은지, 조예림)

미디어장비: 주영미디어(기술감독 엄현수)

공간구성: 디자인본(한정우, 이태원)

전시디자인: 프랍서울(김동희, 이지원) 

 

 

 

-가이드북을 다운받을 수 있다.

manual.pdf
0.55MB

http://www.seo-sema.kr/